GCP VM 인스턴스 생성
- 1단계: GCP 콘솔 접속 및 컴퓨트 엔진 메뉴 이동
- 2단계: VM 인스턴스 생성 시작
- 3단계: VM 인스턴스 기본 구성 설정
- 4단계: 머신 구성 설정
- 5단계: 부팅 디스크 설정
- 6단계: 네트워킹 설정
- 7단계: 고급 옵션 (선택 사항)
- 8단계: VM 인스턴스 생성
- 9단계: VM 인스턴스 확인
1단계: GCP 콘솔 접속 및 컴퓨트 엔진 메뉴 이동
웹 브라우저에서 Google Cloud 콘솔에 접속하여 로그인
왼쪽 탐색 메뉴에서 Compute Engine > VM 인스턴스
2단계: VM 인스턴스 생성 시작
- VM 인스턴스 페이지 상단 만들기 버튼 클릭
3단계: VM 인스턴스 기본 구성 설정
VM 인스턴스의 이름, 리전, 영역 등 기본적인 설정 수행
- 이름: 생성할 VM 인스턴스의 이름 입력 (예: my-instance)
- 리전: VM 인스턴스를 생성할 물리적 위치 선택 (예: asia-northeast3 (서울))
- 영역: 선택한 리전 내의 특정 영역 선택 (예: asia-northeast3-a)
- 가용성을 위해 여러 영역에 걸쳐 인스턴스를 배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음
4단계: 머신 구성 설정
VM 인스턴스의 성능과 비용을 결정하는 머신 구성 설정
- 머신 시리즈: 사용할 머신 시리즈 선택 (예: 범용)
- 머신 유형: 선택한 머신 시리즈 내에서 원하는 CPU 및 메모리 구성 선택 (예: e2-medium)
- 필요에 따라 커스텀 머신 유형을 선택하여 직접 CPU와 메모리 용량을 지정할 수도 있음
5단계: 부팅 디스크 설정
M 인스턴스의 운영체제 및 디스크 설정
- 부팅 디스크:
변경
버튼을 클릭하여 부팅 디스크 구성- 운영체제: 원하는 운영체제 이미지 선택 (예: Ubuntu, CentOS, Debian, Windows Server 등)
- 버전: 선택한 운영체제의 특정 버전 선택
- 부팅 디스크 유형: 디스크의 성능 특성을 결정하는 유형 선택 (예: 표준 영구 디스크, 균형 잡힌 영구 디스크, SSD 영구 디스크)
- 크기 (GB): 부팅 디스크의 용량 설정
- 부팅 디스크:
6단계: 네트워킹 설정
VM 인스턴스의 네트워크 설정 구성
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
- 기본 네트워크를 사용하거나 특정 VPC 네트워크 및 서브넷을 선택할 수 있음
- 필요에 따라 외부 IP 주소 할당 여부 설정
- 기본적으로 임시 외부 IP가 할당됨
- 고정 외부 IP를 원하면 별도로 설정해야 함
- 방화벽
- HTTP 트래픽 허용 및 HTTPS 트래픽 허용 체크박스를 선택
- 필요한 인바운드 트래픽을 허용할 수 있음
- HTTP 트래픽 허용 및 HTTPS 트래픽 허용 체크박스를 선택
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
7단계: 고급 옵션 (선택 사항)
- 필요에 따라 보안, 디스크, 네트워킹, 관리, 게스트 OS 기능, 컨테이너 등 다양한 고급 옵션을 구성할 수 있음
- 예시
- SSH 키를 추가하여 비밀번호 없이 VM에 접속
- 시작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인스턴스 초기화 작업 자동화
8단계: VM 인스턴스 생성
- 모든 설정을 완료했으면 페이지 하단의 만들기 버튼을 클릭
9단계: VM 인스턴스 확인
- VM 인스턴스가 성공적으로 생성되면 컴퓨트 엔진 > VM 인스턴스 페이지에서 생성된 인스턴스의 상태 확인 가능
- 상태가 “실행 중”으로 표시되면 VM 인스턴스를 사용할 수 있음